주식 투자를 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가장 어려운 단계는 이미 넘어섰다. 경험을 갖춘 찐 투자자로 가기 위한 단계들을, 앞으로는 차근차근 밟아 나아가기만 하면 된다. 가장 처음으로 우리 앞에 놓인 계단의 이름은 '배당주 투자'다. 감히 추측하건대, 이 과목은 주식 투자의 가장 기초이면서 정석이라고 할 수 있다. 배당주 투자는 주식회사가 태어나던 시절부터 있었던, 주식 투자 그 자체와 동의어라고도 할 수 있다.
은행이라는 개념조차도 없었던 중세 유럽에서의 화폐는 금화와 은화로 구성되어 있었다. 장신구를 만들어 팔던 금 세공인은 수수료를 받고 금화를 맡아 보관해주는 부업도 겸하고 있었다. 세탁소에서 찾아가지 않은 세탁물을 빌려주기도 하는 것처럼, 금 세공인은 맡아둔 금화 중의 일부를 이따금씩 빌려주었다가 돌려받기도 했다. 잠깐이나마 금화가 급했던(?) 고객은 금 세공인에게 사례를 하곤 했다.
금 세공인이 신용과 시장 점유율(?)을 확장할 수록 이러한 부업 전략은 더 널리 알려졌다. 금 세공인에게 금을 맡기던 사람들도 더이상 그런 사실을 모르지 않았다. 금 세공인들도 하나 더 알게된 사실이 있었다. 금을 맡긴 모든 고객들이 금을 되찾으러 한꺼번에 오는 일은 없더라는 거였다. 금 세공인과 고객이 서로 합의해 만기 관리만 잘 한다면, 한 배를 탄 사업 파트너가 될 가능성이 보였다. 금 세공인은 고객이 금을 맡기지 않으면 빌려줄 금이 없으므로, '사례금'을 챙길 수 없었다. 금을 맡기는 고객에게는 금 세공인만큼의 신용과 인프라가 없었기 때문에, 혼자서는 역시 '사례금'을 벌 수 없었다.
금 세공인(골드스미스 ⇔ 블랙스미스/대장장이)은 은행이 되었다. 금 세공인은 금을 빌려주고 돌려받는 댓가로 이자수익을 얻는다. 고객은 이 시스템을 믿고 금을 맡김으로써 사업이 가능하도록 한 기여가 있기 때문에, 수수료를 받는 게 아니라, 이제는 이자수익 일부를 나누어 준다. 현대어로 번역하면, 금 세공인은 대출이자를 벌었고 그 중에서 일부는 고객이 벌게 되는 예금이자가 된다. 이 구조를 한 줄로 꿸 수 있다. 고객은 금 세공인에게, 금 세공인은 급전이 필요한 사람에게, 금화를 '빌려 줌으로써' 이자를 벌어들였다.
중간에서 '수수료'를 챙기는 은행 없이 당사자들 사이에서 대출이 오가는 형태도 있다. 여기서는 신용을 대행할 인프라가 없기 때문에, 효력을 가진 기록문서가 탄생한다. 바로 채권이다. 돈을 빌리는 사람이 채권을 발행하고,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돈을 맡긴 후 채권을 가져간다. 어찌보면 채권이라는 종이를 구매하는 행위와도 닮아 보인다. 만기가 이를 때까지 이 문서는 거래될 수 있고, 값어치도 바뀔 수 있다. 채권 투자자는 채권 금리가 주는 이자수익과 채권이 거래되는 시세차익 중에서 큰 쪽을 선택하면 된다. 이 이익은 채권을 발행한 채무자가 빌린 돈으로 창출한 가치로부터 온다. 사업자가 이익을 투자자와 공유하는 시스템은 예금 투자와의 공통분모다. 채무자가 파산하지만 않으면 예금이자보다 짭짤하다.
사업자와 투자자가 이익을 공유하는 모형이 하나 더 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떠나 인도를 왕복해 무역선을 항해하려면 큰 돈이 필요했다. 프로젝트의 규모는 클수록 좋았다. 이익도 이익이지만, 당시 항해술로는 위험도 상당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프로젝트의 소유권을 쪼갰다. 소유권 일부를 문서로 만들어 팔면 종잣돈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한 번의 항해와 한 번의 사업이 마무리되면 벌게 되는 어마어마한 부는 이 회사를 공동으로 소유한 주인들이 나눠가질 터였다. 만에 하나 배가 침몰하거나 사업이 망하더라도, 위험 역시 공동으로 짊어지는 편이 나았다.
이러한 최초의 공동 소유 법인을 주식회사라고 부른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발행한 소유권 문서가 주식이다. 주식의 주인, 주주들이 나눠 가진 이익은 (이자와 구분해) 배당이라고 부른다. 암스테르담을 움직이고 있던 당시의 유대인들은 항구에 주식 거래소도 만들어 소유권을 사고 팔았다. 채권보다 더 위험하고 이자보다 더 큰 수익을 얻는 차이점이 있지만, 주식 투자 역시 사업자와 투자자가 이익을 공유한다는 구조는 동일하다.
배당 받을 자격은 무역선이 돌아왔을 때 소유하고 있는 주식으로 증명할 수 있다. 어떤 이유로든 기준일이 되기 전에 주식을 팔면 배당은 포기해야 한다. 배당은, 가지고 있는 주식의 수에 비례해 지급된다. 보유 주식을 늘려 다음 사업에 또 참여하면 더 많은 배당을 얻을 수 있다. 회사가 더 큰 사업이익을 거두는 경우에도 배당은 는다. 주식 수는 얼마든지 늘릴 수 있으므로 복리의 마법이 일어날 조건은 갖춰졌다. 이제 (배당은 0보다 작을 수는 없으니까) 사업이 완전히 망하지 않고, 그러면서 여러 해 수익률이 곱셈으로 누적되면 피할 수 없는 닫힌 엔딩으로 가게 된다. 부자가 되는 거다.
대항해 시대에는 무역선 한 번 다녀오기가 쉽지 않아 사업이 일회적이었다면, 현대의 '무역선'들은 매년 사업을 지속한다. 그러려면 미래를 기획하고 위험을 대비해야 하니까, 번 돈을 죄다 배당으로 뿌릴 수가 없다. 투자도 하고 부채도 갚고 만일을 대비한 현금도 쌓아둔 뒤에도 남은 돈 중에서 일부를 주주에게 돌려준다. 거둬들인 순이익 중에서 배당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배당성향'으로 정의한다. 높은 배당성향은 사업가의 자신감이다. 따라서 배당 많이 주는 회사에 투자할 때 우리가 감당해야 하는 건 '오랜 세월'이나 '지루함' 정도 뿐이다. 하지만 이 비용은 '복리의 마법'이 일어나기 위한 필수조건이기 때문에 큰 소리로 투덜대기 어렵다.
이것과 관련해 간단한 계산을 해봤다. 일단 배당금을 주식가격으로 나눈 비율인 배당수익률(시가배당률이라고도 한다)의 현실적인 적정선이 7%정도라고 하자. 20세 때부터 매년 7%씩 늘려서(1.07배) 70세가 되기까지 50년을 투자한 돈이 있다고 하자. 같은 금액을 50세에 시작해서 20년 만에 복리 수익으로 달성하려면 매년 18.4%의 수익이 필요하다. 7%는 배당으로 벌기 쉽지만 18%는 그렇지 않다. 욕심이나 시간에 쫓기면 사람은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될 가능성을 높인다. 중간에 한 번이라도 삐끗하면 복리효과는 더 멀어진다. 더 조급해진다. 실수할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더 늦어지고, 더 쫓기고, 더 실수하고... 그래서 투자는 일찍 시작할수록 좋다고들 하는 것 같다.
자, 그러면 투자한 금액의 7%나 배당을 주는 주식을 어떻게 찾을까. 검색엔진에서 고배당주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자. 쭉 나온다. 여기서 보여주는 배당수익률은 작년 배당금액을 현재 주식가격으로 나눈 백분율이다(HTS에서 검색하면 주주명부 기준일의 주가로 계산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과 차이가 난다). 이 값이 10% 20% 30%나 되는 기업은 지속가능성이 낮은 '반짝 배당'일 확률이 높다. 그런 주식들과 인수목적 법인의 스팩주와 부실주들을 걸러내고 나면 2021년 6월 하순 현재시점 기준으로 남는 가장 고배당주들의 배당수익률이 7%대 임을 알 수 있다.
이것 말고도 긴 세월을 즐길 수 있을 만한 당근이 하나 더 있다. 내가 투자한 회사를 응원하는 방법이다. 전에도 말했지만, 내가 티셔츠를 구매한 축구팀의 선전을 응원하듯이. 워렌 버핏이 어딜 가나 코카콜라를 마시는 것처럼. 다음 경기가 기다려지듯 내 회사의 다음 실적발표가 기다려지고, 시간 날 때 우리 회사와 관련된 뉴스나 공시를 찾아 읽다보면 재밌다. 직접 해본 적은 없지만 아이돌 덕질이랑도 일정 부분 비슷하지 않을까?
배당주의 주가가 배당수익률보다 더 많이 떨어질 게 걱정될 수도 있다. 배당주 투자와 변동성 리스크는 서로 양립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배당주 투자란 복리 효과가 누적될 정도로 긴 시간동안 진행되는데, 그에 따른 누적 수익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7% 배당을 받으면 자산이 1.07배가 된다. 짧게 잡아 이걸 20년 누적하면 3.87배 즉, 387%가 된다. 이 정도의 성장이 타격입을만큼 주가가 내려가려면 평균단가의 1/4 토막이 나야 한다. 7%에 이르는 배당을 꼬박꼬박 주는 우등생 기업이 얼마나 헛발질을 해야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지가 더 어려운 과제다. 내게 배당을 안겨주는 기업이 헛발질을 반복한다면 우선 높은 배당성향을 유지하는 것부터가 어렵다. 점점 줄더니 급기야 배당이 끊기고 실적은 쪼그라들고, 결국 1/4 토막이나 나기 전에 갈아탔어야 하는 게 정상적인 판단이다.
내 찐동생이 만약 주식 투자에 입문한다면 배당주 투자는 알고 가야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주식 투자의 기본이고, 주식 투자자의 상식이라고 생각한다.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가 강조하는 '팔지 않는 주식투자, 부자되는 주식투자'가 바로 이 모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동생한테 도박을 부추긴다고 엄마한테 혼나지 않을 수 있는 길이라고도 생각한다.
월급으로 주식 수를 늘리고 배당금으로 주식 수를 늘리고 회사를 응원해 온 세월을 늘린 사람, 그러니까 회사에 무시할 수 없는 말빨을 갖춘 사람을 '주주'라고 부른다. 하나뿐인 내 동생이 주식 투자에 입문한다면, 부디 회사를 스쳐가는 뜨내기 트레이더보다는 주주이기를 희망해 본다. "사회에 공헌하라, 주주에게 더 돌려줘라, 노동자 복지에 신경써라" 잔소리하는 꼰대가 되기를, 조언해보고 싶다.
'투자자 >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와 디플레의 균형... 미국은 어디로 갈까? (0) | 2021.07.05 |
---|---|
나는 어떤 투자자인가; 투자전략 분류 해보기 (0) | 2021.06.30 |
'복리의 마법' 나도 부리려면... 매번 더 집어넣는다 × 잃지 않는다 (0) | 2021.06.15 |
그린에너지 : 해외는 태양광-풍력, 국내는 그린수소로 보는 이유 (2) | 2021.06.01 |
거래량과 수급에 관한 속설들 이해하기 feat. 호가창 (1) | 2021.05.28 |